Search Results for 'parametric polymorphism'

1 POSTS

  1. 2006.10.05 Parametric Polymorphism과 Dynamic Typing

Parametric Polymorphism과 Dynamic Typing

Posted 2006. 10. 5. 23:18
동적 타이핑에 대한 여러 가지 오해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동적 타이핑을 써야만  Polymorphism이 간단해진다고 데 믿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C++의 Template이나, Java/C#의 Geneircs을 쓰다가 파이썬/루비의 Parametric Polymorphism만  접해보고 나서 성급하게 내리는 결론이 아닐까 쉽다.

실제로 2 개의 인자를 받아서 큰 값을 리턴하는 max 함수를 예로 들어보자.

<파이썬의 예>
>>> def max(a, b):
...     if (a >= b): return a
...     else: return b
...
>>> max(3,4)
4
>>> max(3.5,4.2)
4.2000000000000002


<자바의 예>
public class Foo {
    public static <T extends Comparable > T max(T a, T b) {
        if (a.compareTo(b) >= 0) return a;
        else return b;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max(3,4));
        System.out.println(max(3.5,4.2));
    }
}


위의 예를 보면 똑같은 일을 하기 위해서 파이썬은 간단히 변수 a, b만 있으면 되는 반면에 자바는 복잡한 문법으로 타입 변수  T에 대한 정보를 줘야 한다. 여기까지만 살펴보면, 파이썬이 훨씬 좋아 보인다.

한 가지 차이가 있다면 파이썬은 동적 타입 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a, b의 인자가 실제로 비교할 수 있는 연산자(>)가 정의되어 있지 않더라도 실행이 된다(실제로 실행할 때 런타임 에러가 발생한다)는 것이고, 자바의 경우는 Compa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지 않은 객체를 넘기면 바로 컴파일 에러가 뜬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까지만 살펴보면, 파이썬과 같은 동적 타입 언어가 Parametric Polymorphism을 훨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자바의 Generics는 한 번 보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기 때문이다. 파이썬 입문자가 엄청난 생산성 향상을 맞보고 동적 타입 언어야 말로 개발자를 위한 언어라고 생각하는 게 무리가 아니다.

그렇지만 정적 타입 언어는 반드시 C++의 Template, Java/C#의 Generics처럼 저렇게 복잡한 타입 정보를 일일이 적어줘야만 하는 운명에 놓인 것인가? 정답은 그렇지 않다. 강력한 정적 타입 언어로 유명한 ML의 예를 살펴보자.

- fun umax (x, y, gt) = if gt(x,y) then x else y;
- umax (2, 3, op >);
val it = 3 : int
- umax (2.3, 3.2, op >);
val it = 3.2 : real

코드만 놓고 보면 파이썬과 별로 차이가 없다. (op >를 직접 코드에 쓰지 않고 인자로 넘긴 이유는 ML에서 > 연산자가 오버로딩 되었다는 점과 ML의 기본 타인 추론 규칙 때문인데,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어쨌거나 x, y 두 개의 인자를 넘기는데, 타입 정보는 따로 준 적이 없다.

혹시ML은 파이썬과 마찬가지로 동적 타입 언어인데, 우리가 잘못 알았던 것일까? 그렇진 않다. ML은 무척 강력한 정적 타입 체킹을 하는 언어이다. 다만 타입 추론(type inference)를 통해서 불필요한 타입 정보를 생략할 수 있게 만들었다. 위 정보를통해서 ML은 x, y 변수가 >= 연산자가 정의되어 있는 임의의 타입임을 안다.

그럼 이 ML 코드가 파이썬 코드랑 뭐가 다른 것일까? 하는 일이 똑같다면 정적 타입 언어와 동적 타입 언어의 구분이 무의미할 테니깐 말이다. 개발자가 실수로 서로 비교할 수 없는 타입인 정수와 문자열을 비교했다고 하자.

ML의 경우
- umax (2.3, "hello", op >);
stdIn:1.1-17.7 Error: operator and operand don't agree [tycon mismatch]
operator domain: real * real * (real * real -> bool)
operand: real * string * ('Z * 'Z -> bool)
in expression:
umax (2.3,"hello",>)

바로 타입 에러가 나는 반면의 파이썬의 경우 int를 문자열로 바꿔서 비교한 후에 아무렇게나 리턴해 버린다. 물론 파이썬의 경우도 정말 정의가 안 된 연산(예를 들어 정수 + 문자열)에 대해서는 런타임에 타입 오류를 내는데, ML은 컴파일 타임에 알 수 있는 버그를 파이썬은 해당 코드를 실행시켜 보아야만 알 수 있다.

요약하면, 동적 타이핑 언어를 사용하면 Polymorphism 구현이 간단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역시 컴파일 타임에 오류를 알 수 없다는 동적 타이핑 특유의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반대로 정적 타입 언어는 약간의 타입 정보만을 주면 이런 오류를 컴파일 타임에 모두 잡아낼 수 있다. C++, Java/C#처럼 뒤 늦게 Polymorphism을 추가한 경우 사용의 불편함이 있지만, ML처럼 처음부터 언어에 Polymorphism을 녹여넣고 타입 추론을 적극 활용하면 불편함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똑같은 버그를 두고 1) 실행도 해보기 전에 컴파일하면서 잡는 방식, 2) 일일이 테스트하고 QA를 거쳐서 잡는 방식이 있다면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지는 자명하다. 소프트웨어 결함의 제거 비용은 시간에 대한 x^2 이상의 함수임을 잊지 말자. 현대의 스크립트 언어는 여러 가지 훌륭한 점이 많지만, 그 훌륭함이 동적 타입 체킹을 하기 때문은 아닐 것이다.